청년도약계좌는 성실하게 활동하는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정부가 지원하는 정책형 금융 상품입니다. 사회 초년생들이 목돈을 효과적으로 모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, 비과세 혜택과 정부 기여금 지원이 특징입니다.
1. 가입 대상:
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 중 개인 소득 및 가구 소득 조건을 충족하는 분들을 대상으로 합니다. 직전 과세 기간의 개인 총급여가 7,500만 원 이하이면서 종합소득은 6,300만 원 이하여야 합니다. 또한, 가구 소득은 중위 소득의 180% 이하여야 합니다. 병역 이행 기간은 나이 계산 시 제외됩니다.
2. 가입 및 납입 한도:
청년도약계좌는 모든 취급 은행에서 1인 1계좌만 가입할 수 있습니다. 한 번 가입한 계좌는 다른 은행으로 변경할 수 없습니다. 월 납입 한도는 70만 원이며, 납입 금액은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특정 달에 70만 원을 납입했다면 다음 달에는 더 적게 납입하거나 납입하지 않아도 됩니다.
3. 정부 기여금:
정부 기여금은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 지원됩니다. 개인 소득 6,000만 원 이하인 가입자에게 정부 기여금이 지급되며, 소득이 낮을수록 더 많은 기여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총급여 2,400만 원 이하인 경우 월 최대 2.3만 원, 총급여 3,600만 원 이하인 경우 월 최대 2.1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총급여 4,800만 원 이하는 월 최대 1.8만 원, 6,000만 원 이하는 월 최대 1.5만 원이 지원됩니다.
4. 만기 및 중도 해지:
청년도약계좌의 만기는 5년입니다. 만기까지 유지 시 정부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을 모두 받을 수 있습니다. 특별한 사유(사망, 해외 이주, 퇴직, 사업장 폐업, 천재지변, 장기 요양, 주택 구입) 없이 중도 해지 시에는 정부 기여금을 받을 수 없으며, 이자 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도 적용되지 않습니다. 단, 중도 해지 시에도 재산 형성 지원금은 지급됩니다.
5. 신청 방법:
청년도약계좌는 주요 시중은행 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. 앱에 접속하여 가입 조건을 확인하고 필요 서류를 제출하면 됩니다. 대부분의 절차가 온라인으로 진행되어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.
6. 연계 사업: 청년 주택드림 청약 통장
청년도약계좌를 개설한 청년이 주택을 구매할 경우, ‘청년 주택드림 청약 통장’으로 연계하여 저금리 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이 통장은 청년의 주거 안정을 돕기 위한 정책으로, 청년도약계좌와 함께 활용하면 시너지를 낼 수 있습니다.
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이 안정적으로 미래를 계획하고 자산을 형성하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. 가입 조건을 확인하시고 이 기회를 활용해 보시는 건 어떨까요?